-
3708
NEW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아 아주대학교에서 ‘2025 SW 커리어페어’가 열렸다.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유망 기업을 소개하고, 기업들에는 우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행사다.아주대 SW융합교육원(SW중심대학사업)은 11일 체육관에서 52개 기업의 인사 담당자 및 실무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SW 커리어페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아주대를 비롯해 경기대와 경희대 등 인근 대학 학생들 600여명이 행사장을 찾았다.이번 행사는 아주대 SW융합교육원(SW중심대학사업)이 주최하고 아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첨단분야혁신융합대학사업(데이터보안·활용융합/미래자동차), 국토교통 D.N.A+ 도로교통분야 융합기술대학원과 경희대 SW중심대학사업, 경기대 SW중심대학사업이 공동으로 주관했다.참여 기업은 총 52개로 ▲CJ올리브네트웍스 ▲롯데그룹 ▲SK쉴더스 ▲현대오토에버 ▲대한항공 ▲LIG 넥스원 ▲안랩 ▲펄어비스 등이다. 행사에 자리한 각 기업의 인사 담당자와 실무자들은 부스를 방문한 학생들과 1대1로 소통하며, 하반기 채용 계획을 비롯한 정보를 제공하고 입사 희망자를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장에는 기업별 채용 상담 이외에도 ▲취업 컨설팅(이력서 첨삭, 면접 준비 등) ▲취업 스타일링(퍼스널 컬러 진단과 면접을 위한 헤어, 메이크업) ▲취업 상담 전문관 운영(수원고용복지플러스센터, 청년고용지원사업) 등이 마련됐다.행사에 참여한 아주대 소프트웨어학과 이규석 학생은 “기업 상담을 통해, 온라인에서는 얻을 수 없는 자세한 취업 정보와 실제 업무에 대한 생생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라고 말했다. 아주대 소프트웨어학과 임정훈 학생 또한 “취업을 희망해왔던 기업의 담당자를 실제 만나 관심 있는 직군에 대해 상담하고, 맞춤 조언을 받을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고 전했다.행사를 주관한 아주대 SW융합교육원은 2022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원의 SW중심대학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아주대는 학생과 기업, 사회의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주대는 SW중심대학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사물지능융합기술(AIoT) ▲지능형 보안 ▲블록체인 ▲메타버스 기획 ▲디지털 휴먼 분야 등에서 우수 인재를 양성해 나가고 있다.아주대 SW중심대학사업 단장을 맡고 있는 강경란 교수(소프트웨어학과)는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AI)이 모든 사업의 기반이 되어가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가 다양한 전공과 관심을 가진 학생들의 사회 진출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2025 SW 커리어페어가 열린 아주대 체육관
-
3707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9-12
- 166
- 동영상동영상
-
첫 ‘아주상상프로젝트’의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성과발표회가 개최됐다. ‘아주상상프로젝트’는 올 1학기부터 아주대 전체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다. 9일부터 11일까지 율곡관에서 개최된 ‘아주상상프로젝트’ 성과발표회는 ▲성과물 전시와 ▲시상식으로 진행됐다. 우수작으로 선정된 59개팀의 결과물이 전시되어, 아주가족들에게 선을 보였다. 1학기에 개설된 총 59개의 ‘아주상상프로젝트’ 반별로 우수팀이 1팀씩 선정됐고, 그 중 대상 1팀과 최우수상 11팀, 인기상 4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교수진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문제 정의 ▲연구 및 적용 ▲창의성 ▲실행 가능성 ▲포스터 완성도를 기준으로 심사했다. 시상식은 11일 오후 율곡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신종호 아주상상프로젝트 주임교수가 사회를 맡았고, 이 프로젝트를 주관한 다산학부대학 박구병 학장의 축사와 한호 교무부총장의 축사에 이어 시상이 진행됐다. 대상은 <버스 딱대! 빅데이터로 다시 쓴 대전의 길> 프로젝트(지도교수 황영아)를 진행한 5명의 학생이 수상했다. 권용채(기계), 최임준(건축), 김채영(국어국문), 박건(첨단바이오), 오병욱(미래모빌리티) 학생이 그 주인공이다. 이 팀은 낙후된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를 통한 버스 노선 개편 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인구 규모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서도, 관련 데이터가 풍부한 광역도시 ‘대전’을 선택했다. 학생들은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과 공공데이터 포털·국토정보플랫폼 등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했고, AI 등을 활용해 새로운 버스 노선 5개를 새로이 만들었다. 대상팀 학생들과 황영아 지도교수 최우수상은 11개팀에게, 인기상은 4팀에게 돌아갔다. 2025학년도 1학기 시작된 ‘아주상상프로젝트’는 전체 신입생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기반(PBL) 수업(3학점)이다. 이 수업은 다양한 학과와 전공의 학생 6인이 하나의 팀을 꾸려 희망하는 대주제를 선택해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양성과 공존 ▲디지털 혁명과 사회변화 ▲글로벌 지속가능성과 실천 ▲건강과 웰빙이라는 큰 주제 하에, 각 팀이 탐구 주제를 선정한다. 학교는 학생들이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융합·문제해결형 교육을 실현하고,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협업하며 배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올 1학기에는 신입생 2243명이 참여해 총 59개 반에서 354개팀이 운영됐다. 2025-1 아주상상프로젝트 수상팀 [최우수상] ▪카페인멈춰! 슬기로운 NO 카페인 생활 – 차대진, 최예린, 김동진, 문서진, 윤기범, 조민제, 이지환(지도교수 김희진)▪아주대생 혈당 낮추기 프로젝트 – 이윤서, 양태웅, 박선우, 김예은, 곽주예, 강은혜(지도교수 김희정)▪기후변화에 따른 온열질환의 피해 완화 – 나예린, 선하영, 최윤지, 전유현, 황주완, 강준서 (지도교수 김희정)▪대체육 인식 개선 프로젝트 : 한 입의 용기, 한 입의 변화 – 박성서, 서예원, 정태현, 이종화, 이강욱, 김예원(지도교수 류학기)▪도심 속의 빌딩풍을 활용한 풍력 발전 : 수원 삼성디지털시티를 중심으로 – 김효상, 김현빈, 신지훈, 이은환, 이재현, 최은서(지도교수 이진희)▪우리가 Green 아주로(路) - 전희서, 배수현, 장소현, 안준환, 김서연, 김규민(지도교수 신미영)▪Able lift 개발 프로젝트 – 김규민, 김도현, 김민찬, 김영우, 윤효은, 조현빈(지도교수 황선영)▪함께 나아가는 캠퍼스 : 시각장애인 학우를 위한 실질적 복지 개선 방안 탐색 – 임성묵, 류보연, 윤관용, 소예성, 한주영, 박예진(지도교수 신호재)▪스크린 너머의 시간탐구 – 전성한, 김민형, 유승주, 신유정, 김지우, 이채영(지도교수 강민형)▪AI 교육 프로그램 재편 – 복연수, 이준혁, 이채은, 정재인, 최승우, 곽민규(지도교수 이경숙)▪딥페이크 사진의 저작권 인정 기준 제안 – 강규민, 김성우, 김유나, 노현서, 박수지, 윤세환, 최지원(지도교수 서주영)[인기상] ▪ 도심 속의 빌딩풍을 활용한 풍력 발전 : 수원 삼성디지털시티를 중심으로 – 김효상, 김현빈, 신지훈, 이은환, 이재현, 최은서(지도교수 이진희)▪ 고령층 KBO 관람, 디지털 장벽 없는 즐거움 : 쉬운 예매 앱 '고이예매' 제안 – 임현진, 홍택우, 고윤태, 이채윤, 황준환, 기예준(지도교수 홍성연)▪ 스크롤을 멈추면 보이는 것들 : SNS 디톡스가 주는 변화 – 권예진, 김건우, 암승우, 박현서, 이시은, 허신영, 황수빈(지도교수 이시내)▪ 유전자 질환 확인을 위한 가계도 분석 프로그램 코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문서윤, 김유겸, 고정우, 김보아, 김강민, 이가영(지도교수 이택균)성과발표회에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학생9~11일 율곡관 로비에서 열린 성과발표회 현장학생들이 직접 프로젝트 결과를 설명하고, 질문에 답하는 모습
-
3705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9-12
- 635
- 동영상동영상
-
약학대학 김정현 교수팀이 AI 기술을 활용해 환자 맞춤형 심장 부정맥 예측 플랫폼을 개발했다. 약물에 의한 심장 부정맥은 신약 개발 과정의 주요 탈락 요인이자 시판 후 약물 회수의 원인이 되어 왔다는 점에서, 향후 약물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해당 연구는 ‘환자 유래 iPSC-심근세포를 이용한 심장 독성 위험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플랫폼(A machine learning platform for genotype-specific cardiotoxicity risk prediction using patient-derived iPSC-CMs)’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저명 학술지 <저널 오브 어드밴스드 리서치(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mpact Factor 13)>에 온라인 게재됐다. 아주대 약대 김정현 교수(사진)와 중앙대·국립보건연구원·가톨릭대·고려대 연구팀이 함께 참여했다. 약물에 의한 심장 독성, 즉 부정맥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주요 탈락 요인이자 시판 후 약물 회수의 원인으로 작용해왔다. 특히 염전성 심실빈맥(Torsades de Pointes, TdP) 같은 치명적 부정맥이 문제가 되어 왔다. 지금까지는 주로 동물실험이나 단일 이온 채널(hERG) 차단 시험으로 약물의 심독성을 평가해왔으나, 이러한 전통적 방법은 환자별 유전적 배경에 따른 실제 위험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김정현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 혈액세포로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제작하고, 이를 심근세포(iPSC-CM)로 분화시켜 환자의 질환 특이적 심장세포 모델을 구현했다. 특히 심장질환 중 하나인 롱 QT 증후군(Long QT Syndrome, LQTS)과 브루가다 증후군(Brugada Syndrome, BrS) 환자 유래 세포를 이용해 실제 환자와 유전적·기능적으로 유사한 환경을 재현했다.연구팀은 분화된 심근세포(iPSC-CM)를 이용해 28종의 약물 반응을 마이크로전극 어레이(Microelectrode Array, MEA) 기술로 측정하고, 이를 AI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학습시켰다.분석 결과 정밀한 심독성 예측이 가능함이 확인됐고, 특히 질환 특이적 세포 데이터를 반영했을 때 더욱 정밀한 예측이 가능했다. 브루가다 환자 세포는 칼슘 채널 차단제에 과민반응을 보였고, 롱 QT 환자 세포는 칼륨 채널 억제제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 이는 환자 유전형에 따라 약물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한 중요한 결과다.또한 연구팀의 분석 결과, 기존에는 저위험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약물이 실제 환자 세포 모델에서는 심장 독성을 보이는 것으로 재분류됐다. 이는 새로운 AI 기반 환자 맞춤형 평가가 기존의 약물 안전성 분류 체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부정맥 환자 유래 역분화줄기세포 실험 결과 김정현 교수는 “환자 유래 줄기세포 모델과 AI를 융합해, 실제 환자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정밀 안전성 평가 플랫폼을 구축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환자 특이적 유전형을 반영한 AI 정밀 심장 안전성 평가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약물의 심장 독성 유발과 관련한 평가의 국제 가이드라인인 CiPA 등과 연계,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덧붙였다.한편 이번 논문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빛사’ 논문으로 선정됐다. 포항공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생명·의과학 분야에서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가 10 이상인 학술지나 그룹별 상위 3% 이내의 세계적인 학술지에 생명과학 분야 논문을 게재한 한국 과학자들을 '한빛사'로 선정해 소개하고 있다. 약학과 김정현 교수팀은 앞으로도 국내 연구자들과 팀을 이루어 ▲다중 오믹스 데이터 ▲심장 오가노이드 ▲차세대 AI 모델을 접목한 더욱 고도화된 안전성 평가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
3703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9-11
- 269
- 동영상동영상
-
[파이어사이드챗(간담회) 진행 모습]아주대가 크리스 터너 구글 글로벌 부사장, 김준혁 국회의원(수원 정)과 함께 파이어사이드챗(Fireside Chat) 행사를 9월 8일 월요일 오후 3시 율곡관 대강당에서 진행했다. 수원시 내 ICT 진로를 희망하는 고등학교 재학생 70여명과 아주대 학부생 300여명 등 사전 신청으로 모집된 400여명이 참석했다. 파이어사이드챗은 벽난로에 둘러앉아 편안한 분위기에서 격의 없이 소통하는 자리를 일컫는 말로 이날 행사에서는 ‘AI시대, 청년 세대의 미래 준비’란 주제로 최기주 아주대 총장, 크리스 터너 구글 글로벌 부사장, 김준혁 국회의원(수원 정)이 AI가 가져온 환경변화와 청년들이 맞이할 미래에 대한 준비 방법을 교육, 산업, 정치 등 각자의 영역에서 예측하고, 대비하는 방법을 조언했다. 터너 부사장은 ”AI가 모든 것을 바꾸고 있지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AI는 툴(도구)이라는 사실“이라며 ”AI가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융합적인 요소들을 잘 이해하고, 활용해서 산출물을 잘 분석하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창의성(Creativity), 소통(Communication), 협력(Collaboration)의 시작 철자인 3C를 강조하며 이를 잘 활용하면 AI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 의원은 “AI가 모든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AI를 도구로서 활용해 다양한 기법을 찾고 이를 이용한 기회를 찾는 미래가 실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시대는 질문을 가진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것”이라며 “질문이 AI활용에도 중요한 것을 보면, 질문이 시대를 이끄는 리더가 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참석 학생들에게 조언했다. 최기주 총장은 “AI를 활용하는 개인과 사회의 도덕적 기준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AI가 학교에서 교수법과 학습방식을 급격하게 바꾸고 있는 것처럼 앞으로 그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시대에 태어난 지금 세대는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파이어사이드챗에 이어서 구글 엔지니어들이 직접 진행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인 ‘구글 캠퍼스 아웃리치’도 열렸다. 멘토들은 사전에 접수된 학생들의 질문에 자신들의 경험에 기반한 조언을 해 학생들의 호응을 얻었다. 구글 캠퍼스 아웃리치는 구글 코리아의 사회 공헌 프로그램으로, 수원시의 협조로 수원시 고등학생들이 참여해 ICT산업에 대한 글로벌 감각과 산업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글러의 특강, Q&A, 패널토론 등이 마련되었다.이날 행사는 지난 5월 아주대와 구글 그리고 연세대가 함께 맺은 ‘AI 연구 및 교육 협력 위한 공동 선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선언에는 ▲AI 공동 과제 추진 ▲교육과정 개발 및 커리큘럼 구상 ▲실습 및 워크숍 기회 모색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협력내용이 포함되었으며 아주대는 구글로부터 첨단AI 기술과 전문성을 공유받고, 대학 연구진과 학생들이 보다 실질적이고 심화된 학습과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원과 프로그램을 제공받기로 한 바 있다. 아주대는 올해 경기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사업 취지에 따라 지역사회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번 행사도 그 일환이다. [파이어사이드챗과 아웃리치 프로그램에 수원시내 고등학생과 아주대 재학생 400여명이 참석했다][좌측부터 김준혁 의원, 최기주 총장, 크리스 터너 구글 부사장이 상호협력의 뜻을 담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3701
- 작성자홍보실
- 작성일2025-09-10
- 553
- 동영상동영상
-
- 안정성·기능성 높은 차세대 경구용 치료제로 새 패러다임 제시- 네이처 포트폴리오 <실험 및 분자 의학(EMM)> 게재우리 학교 연구진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특정 단백질의 과도한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했다. 이에 안정성과 기능성이 높은 차세대 경구용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첨단바이오융합대학·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김욱·최상돈 교수팀은 자가면역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내재성 톨유사수용체의 과도한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내용은 ‘ETI41 및 ETI60의 발견: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선택적 내재성 톨유사수용체 억제제(Discovery of ETI41 and ETI60: Novel Selective Endosomal Toll-Like Receptor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라는 제목으로 네이처 포트폴리오(Nature Portfolio) 발행 저명 학술지 <실험 및 분자 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9월1일 온라인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아주대 의학과 서창희 교수(류마티스내과학교실), 응용화학과 김문석 교수가 함께 참여했다. 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정의석·이왕희 박사가 제1저자로 실험과 분석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질환 신약 개발 기업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대표 최상돈)도 함께 참여했다. 인체의 면역체계가 본래의 방어 기능을 넘어 자가 조직을 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은, 발병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데다 증상과 발현 부위가 다양하다. 때문에 암과 심혈관 질환에 이어 많은 수의 환자가 고통을 받아온 난치병 중 하나다.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1형 당뇨,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등이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는 과도하게 활성화된 면역 반응을 억제해 면역체계의 과잉 반응을 줄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치료제는 전신의 면역을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감염 위험 증가 ▲장기 독성 노출 등 여러 부작용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치료에 고가의 주사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비용과 병원 방문에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비용은 낮추며, 안정성과 기능성을 갖춘 경구용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주대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자가면역질환의 발병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내재성 톨유사수용체(Endosomal Toll-like Receptors, TLR)의 신호 경로에 주목했다. 내재성 TLR 3, 7, 8, 9는 세포 내 소기관에 위치하면서 병원체 유래 핵산을 인식해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경우 만성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한다는 점에 착안해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접근법을 도입한 것.연구팀은 인공지능 컴퓨팅을 활용한 구조-활성도 관계(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 기반의 약물 설계 기법을 통해 여러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 과정에서 ETI15라는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이후 후보물질의 분자 구조를 최적화해 ETI41(Endosomal TLR Inhibitor 41)과 ETI60(Endosomal TLR Inhibitor 60)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새로 개발한 저분자 화합물 ‘ETI41’과 ‘ETI60’은 세포 내 TLR 3, 7, 8, 9에 대해서만 강력한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세포 표면 TLR(TLR 1, 2, 4, 5, 6)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높은 선택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분자 도킹(molecular docking)과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분석을 통해 두 화합물이 TLR 7과 TLR 9의 Site 1 결합 부위와 직접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는 주요 염증 신호 경로(NF-κB, MAPK, IRF7 등)의 활성 억제로 이어진다.신약 후보 물질인 ETI41과 ETI60이 내재성 톨유사수용체에 어떻게 선택적으로 결합·작용하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보여주는 이미지. 이를 통해 전신의 면역을 광범위하게 억제하지 않고, 특정 면역 감지 수용체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저분자 화합물은 전임상 동물실험에서도 우수한 효능이 확인됐다.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인 건선의 마우스 모델에서 하루 60mg/kg의 경구 투여만으로 표피 두께가 67% 감소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IL-17A, IL-23) 발현은 90% 이상 억제됐다. 또한 온몸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인 루푸스의 모델 마우스에서는 30mg/kg 투여 시 항 이중가닥 DNA항체(anti-dsDNA) 생성이 80% 억제, 신장 내 IgG 침착이 70% 이상 감소하는 등 주요 질환 지표가 현저히 개선됐다. 뿐만 아니라 300mg/kg의 고용량 투여에도 독성 징후가 관찰되지 않아, 차세대 경구용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안전성과 가능성을 동시에 입증했다.연구를 주도한 김욱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두 화합물은 기존 면역억제제와 달리 면역 반응 전체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성 TLR 과활성화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세계 최초의 후보물질”이라며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효율성과 안정성, 편의성 측면에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심혈관계 염증 질환 등의 여러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가면서 글로벌 신약 개발까지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글로벌기초연구실사업 및 중견연구)과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특허 출원과 기술이전이 완료되어 전임상을 마쳤고, 현재 ETI41을 중심으로 후속 임상 개발이 진행 중이다.* 제일 위 그림 설명 - 아주대 연구팀이 개발한 신규 저분자 화합물 ETI41과 ETI60의 치료 효능을 자가면역질환 동물모델을 통해 설명하는 이미지. 건선 모델 7주령 C57BL/6 마우스에 ETI41 또는 ETI60를 매일 60mg/kg 경구 투여한 결과, 피부 두께(표피 및 진피)가 현저히 감소했으며, 염증세포 침윤과 염증성 사이토카인(IL-17A 및 IL-23) 발현이 크게 억제됐다. 육안 및 조직학적 관찰에서 염증과 각질 증가가 완화되는 치료 효과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
3699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9-09
- 379
- 동영상동영상
-
-
3697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9-08
- 317
- 동영상동영상
-
-
3695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9-02
- 673
- 동영상동영상
-
-
3693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8-29
- 1074
- 동영상동영상
-
-
3691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8-28
- 2939
- 동영상동영상
-
-
3689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8-27
- 3217
- 동영상동영상
-
-
3687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8-27
- 1560
- 동영상동영상
-
- <사이언스(Science)> 8월호 표지논문 게재- 김동진 박사 제1저자, 김창환 박사과정생 공동저자로 참여아주대 연구팀이 물 위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곤충 부채다리 소금쟁이를 모사한 초소형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곤충의 기동 메커니즘 연구를 기반으로 한 생체 모사 로봇으로, 해당 내용은 글로벌 학술지 <사이언스(Sceince)>의 8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고제성 교수(기계공학과) 연구팀은 물 위에서 초고속 기동을 펼치는 소금쟁이과 곤충 라고벨리아(Rhagovelia)의 기동 원리를 밝혀내고 이를 모방한 초소형 반수생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내용은 ‘초고속 탄성-모세관 팬을 통한 반수생 곤충과 로봇의 민첩한 기동 제어(Ultrafast elastocapillary fans control agile maneuvering in ripple bugs and robots)’라는 제목으로 글로벌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8월호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아주대 기계공학과 김동진 박사후연구원(위 사진 제일 왼쪽)이 제1저자로, 김창환 박사과정생(위 사진 가운데)이 공공저자로 참여했고 고제성 교수(위 사진 제일 오름쪽)가 교신저자로 함께 했다. 미국 조지아공과대학(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사드 밤라(Saad Bhamla) 교수와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UC Berkeley) 빅터 M. 오르테가-히메네스(Victor M. Ortega-Jimenez) 교수도 함께 참여했다. 아주대 연구팀은 생물을 모사한 로봇의 개발을, 조지아공대·캘리포니아대버클리 연구팀은 생물의 기동 메커니즘 연구를 맡았다.소금쟁이과 곤충 라고벨리아(Rhagovelia)는 다리의 부채꼴 구조를 이용해 흐르는 물살에도 빠르게 나아가고 급회전을 구사하는 등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다(0.05초 만에 최대 96도 급선회). 하지만 이러한 기동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그동안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라고벨리아 다리 끝에 부착된 부채 형태의 납작한 끈 구조가 라고벨리아의 근육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파악해 왔으나, 아주대 공동 연구팀은 근육 에너지에 대한 의존 없이 수중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움직임이라는 점을 규명해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라고벨리아의 초고속 기동은 ‘탄성-모세관 현상’에 의한 것으로, 이 현상은 얇고 유연한 구조가 물의 표면장력과 탄성으로 인해 빠르게 변형되는 물리적 메커니즘이다. 라고벨리아 다리 끝의 부채꼴 구조가 물속에 들어가면 0.01초 이내에 스스로 펼쳐지고, 물 밖에서는 곧바로 접히는 것이 바로 물의 표면장력과 부채꼴 구조라는 유연한 물질 사이의 섬세한 상호작용이라는 것. ‘탄성-모세관 현상’은 거시적 구조의 분석에서는 간과되거나 무시되지만, 작은 크기 곤충의 움직임 같은 규모의 분석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공동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한 기동 메커니즘을 모방해 무게 1mg의 초경량 인공 팬(fan)을 개발하고, 이를 장착한 0.23g의 초소형 로봇 ‘라고봇(Rhagobot)’을 구현해냈다. 이 초소형 로봇은 형상기억합금 기반 17mg의 인공 근육 구동기도 장착하고 있어, 기존의 반수생 로봇들보다 더욱 민첩하게 제동하고 방향을 바꿀 수 있다(1초 만에 206도 회전 가능). 기존의 초소형 로봇 연구는 곤충의 다리 구조나 근육 기반 메커니즘에 의존, 표면장력을 무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만 설계되어 실제 곤충 수준의 속도 조절과 제동·회전 등 복잡한 기동 구현에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아주대 공동 연구팀은 자연계 자기형상변화(self-morphing) 구조의 원리 규명을 통해 로봇의 추진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아주대 고제성 교수는 “자연계 곤충이 가진 구조적 지능(embodied intelligence)을 활용해 물리적 구조·재료적 특성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발현될 수 있도록 구현해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말했다. 고제성 교수는 이어 “앞으로 급류 환경에서의 환경 모니터링과 재난 탐사 및 구조 활동뿐 아니라 물의 계면이 존재하는 뇌 등 생체 내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우리 학교 기계공학과 고제성 교수는 앞서 박사과정부터 15년여간 소금쟁이를 비롯한 곤충 등 자연을 모사한 소형 로봇 연구에 매진해왔다. 지난 2017년 우리 학교에 임용된 고제성 교수의 지도로, 아주대 기계공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마치고 현재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김동진 박사가 이번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공동저자로 기여한 김창환 박사과정생 역시 아주대 기계공학과에서 학업을 시작하고 이어왔다.김동진 박사는 “이번 연구에 참여해 실제 로봇의 기능을 완성하는데 4년에 가까운 시간이 필요했고, 1만 번 이상의 실패가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들고, 사람들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신진연구, 기초연구실사업과 아주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위) 라고벨리아 곤충의 모습. (아래 왼쪽) 아주대 연구팀이 개발한 소형 로봇과 (아래 오른쪽) 약 1mg의 무게, 21개 끈 형태의 털로 구성된 자가변형 인공 팬(fan)8월22일 공개된 <사이언스(Science)> 표지. 아주대 국제 공동 연구팀의 연구 내용이 담겨 있다_제공 사이언스(Science)# 관련 영상 보기 : YTN사이언스 소금쟁이 본뜬 초소형 로봇 개발, 수면 위 이동 원리 규명# 관련 인터뷰 보기 : 연합뉴스"기초과학은 실패의 시간"…소금쟁이 다리 규명 성과
-
3685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5-08-22
- 1844
- 동영상동영상